본문 바로가기
정보

🚀 똥손도 가능한 '엘지 그램' SSD 추가 장착, 저장 공간 고민 끝내는 초간단 해결법!

by 203asdfkae 2025. 11. 3.
🚀 똥손도 가능한 '엘지 그램' SSD 추가 장착, 저장 공간 고민 끝내는 초간단 해결법!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똥손도 가능한 '엘지 그램' SSD 추가 장착, 저장 공간 고민 끝내는 초간단 해결법!

 

📝 목차

  1. SSD 추가 장착, 왜 필요할까?
  2. 준비물: 장착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3. 그램 모델별 SSD 규격 및 슬롯 확인하기
  4. 자가 장착 전 필독! '엘지 그램' 분해의 핵심 포인트
  5. 가이드라인: SSD 장착 단계별 상세 가이드
  6. 장착 후 필수 과정: 새로 설치한 SSD 인식시키기
  7. 자주 발생하는 문제 및 해결 꿀팁

🧐 SSD 추가 장착, 왜 필요할까?

엘지 그램(LG gram)은 가벼운 무게와 뛰어난 휴대성으로 사랑받는 노트북입니다. 하지만 그램의 치명적인 단점 중 하나는 바로 기본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고화질 사진, 4K 영상 편집 파일, 대용량 게임 등을 저장하다 보면 윈도우와 필수 프로그램만으로도 기본 SSD 용량이 순식간에 차버리기 일쑤죠. 용량이 부족하면 노트북의 전반적인 속도 저하를 야기하고, 작업 효율성까지 떨어뜨립니다.

새 노트북을 사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바로 SSD 추가 장착입니다. 엘지 그램의 대다수 모델은 사용자가 직접 추가 SSD를 설치할 수 있는 여분의 슬롯(Slot)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자가 장착 과정을 통해 몇 분 만에 저장 공간을 2배, 심지어 3배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이는 노트북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준비물: 장착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성공적인 SSD 추가 장착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새로운 M.2 NVMe SSD: 그램 모델에 맞는 규격(주로 2280)의 SSD를 준비해야 합니다. 가급적 기존 SSD와 속도 스펙이 유사하거나 상위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밀 드라이버 세트: 노트북 후면 커버를 열기 위한 십자 모양의 정밀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나사 머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너무 크거나 작은 드라이버는 피해야 합니다. 특히 그램은 나사 크기가 작으므로 섬세한 작업이 요구됩니다.
  • 플라스틱 헤라 또는 얇은 카드: 후면 커버의 틈을 벌려 분리할 때 사용합니다. 금속 도구는 노트북 케이스에 흠집을 내거나 내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정전기 방지 손목 스트랩 (선택): 전자 부품을 다룰 때는 정전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스트랩을 착용하거나, 작업 전 반드시 수도꼭지 등 금속 물체를 만져 몸의 정전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 SSD 고정 나사: 일부 그램 모델은 여분의 SSD 슬롯에 고정 나사가 미리 설치되어 있지만, 혹시 없는 경우를 대비해 여분의 M.2 고정 나사를 준비해 두면 좋습니다.

🔍 그램 모델별 SSD 규격 및 슬롯 확인하기

엘지 그램은 모델과 연식에 따라 지원하는 SSD의 종류와 슬롯의 개수가 다릅니다. 이 부분을 잘못 확인하면 헛고생을 하거나 부품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 지원 규격: 대부분의 최신 엘지 그램 모델은 M.2 2280 규격의 SSD를 사용하며, 인터페이스는 속도가 빠른 NVMe (PCIe) 방식을 지원합니다. 간혹 구형 모델이나 저가형 모델 중에는 SATA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램은 대부분 NVMe를 사용합니다. 반드시 본인의 그램 모델명(예: 15ZD90P-GX50K)을 정확히 검색하여 지원 규격을 확인해야 합니다.
  • 슬롯 개수: 일반적으로 14인치 모델은 1개의 M.2 슬롯, 15인치와 17인치 모델은 2개의 M.2 슬롯을 제공합니다. 2슬롯 모델이라면 추가 장착이 매우 용이합니다. 이미 슬롯이 가득 차 있는 경우(기본 SSD 외에 이미 1개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존 SSD를 더 큰 용량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LG전자 공식 서비스센터 매뉴얼이나 해당 모델의 스펙 시트(Specification Sheet)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 자가 장착 전 필독! '엘지 그램' 분해의 핵심 포인트

엘지 그램은 슬림 디자인 때문에 분해가 까다로운 편에 속합니다. 특히 후면 커버를 분리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1. 전원 완전 차단: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노트북 전원을 끄고(Shutdown), 어댑터를 분리해야 합니다. 내부 배터리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일부 모델은 BIOS 설정에서 '배터리 커넥터 비활성화' 옵션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2. 숨겨진 나사 찾기: 그램은 고무 발(Rubber feet) 아래에 숨겨진 나사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앞쪽 고무 발 2개 아래에 나사가 숨어 있습니다. 드라이버로 나사를 풀기 전에 고무 발을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고무 발이 찢어지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후면 커버 분리: 모든 나사를 풀었다면, 플라스틱 헤라나 카드를 이용해 후면 커버의 틈새를 공략해야 합니다. 커버는 플라스틱 걸쇠(클립)로 고정되어 있어 약간의 힘과 요령이 필요합니다. 모서리 부분부터 조금씩 틈을 벌려가며 걸쇠를 해제해야 합니다. 힘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플라스틱 걸쇠가 부러질 수 있습니다. 특히 힌지(경첩) 부분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가이드라인: SSD 장착 단계별 상세 가이드

  1. 내부 확인: 후면 커버를 완전히 분리하면 노트북의 내부가 보입니다. 배터리, 쿨링팬 등을 확인하고, 추가 SSD를 장착할 빈 M.2 슬롯의 위치를 찾습니다.
  2. SSD 장착: 빈 슬롯에 새 SSD의 금색 접촉면(커넥터)을 정확히 맞추어 삽입합니다. SSD를 슬롯에 완전히 밀어 넣으면, SSD의 끝부분이 살짝 위로 들리게 됩니다.
  3. 나사로 고정: 위로 들린 SSD의 끝부분을 아래로 살짝 누른 상태에서, 준비된 M.2 고정 나사로 SSD를 단단하게 고정합니다. 너무 세게 조이면 기판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힘으로 조여야 합니다.
  4. 역순으로 조립: SSD 장착이 완료되면, 후면 커버를 다시 덮고, 걸쇠들이 '딸깍' 소리를 내며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5. 나사 결합 및 고무 발 부착: 분리했던 나사를 모두 다시 조이고, 마지막으로 고무 발을 원래 위치에 부착합니다.

💾 장착 후 필수 과정: 새로 설치한 SSD 인식시키기

물리적인 장착이 끝났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윈도우 운영체제가 새로 추가된 SSD를 인식하도록 '포맷(Format)'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1. 전원 켜기: 노트북 전원을 켜고 윈도우로 부팅합니다.
  2. 디스크 관리자 실행: 윈도우 검색창에 '디스크 관리' 또는 '하드 디스크 파티션 만들기 및 포맷'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3. 새 SSD 확인: 디스크 관리자가 실행되면, 새로 설치한 SSD가 '알 수 없음' 또는 '할당되지 않음' 상태로 표시됩니다.
  4. 초기화: 해당 디스크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디스크 초기화'를 선택합니다. 파티션 형식은 GPT(GUID Partition Table)를 선택하는 것이 최신 환경에 적합합니다.
  5. 새 단순 볼륨 만들기: 초기화가 완료된 디스크를 다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새 단순 볼륨'을 선택합니다. 마법사 안내에 따라 드라이브 문자(예: D: 또는 E:)를 할당하고, 파일 시스템은 'NTFS'를 선택하여 포맷을 진행합니다.
  6. 사용 준비 완료: 포맷이 완료되면 '내 PC' 또는 '파일 탐색기'에서 새로 추가된 드라이브가 나타나며, 이제부터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주 발생하는 문제 및 해결 꿀팁

  • 문제 1: SSD가 디스크 관리자에서 아예 인식되지 않음.
    • 해결책: 가장 흔한 원인은 SSD가 슬롯에 제대로 꽂히지 않은 경우입니다. 노트북을 다시 분해하여 SSD를 슬롯에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확실하게 밀어 넣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SSD 고정 나사를 너무 세게 조여 기판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 문제 2: 인식은 되지만 속도가 느린 것 같음.
    • 해결책: 추가 장착한 SSD가 NVMe 방식인지, 아니면 SATA 방식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NVMe를 꽂았는데 속도가 느리다면, 메인보드의 슬롯 자체가 구형 PCIe 레인(Lane)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예: PCIe 4.0 SSD를 꽂았으나 슬롯이 PCIe 3.0만 지원하는 경우). 이는 노트북 스펙의 한계이므로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 문제 3: 후면 커버 분리가 너무 어려움.
    • 해결책: 플라스틱 헤라를 틈새에 넣고 강하게 힘을 주기보다는, 헤라를 깊숙이 넣어 걸쇠를 누르면서 살살 옆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힌지 부분은 노트북을 살짝 벌린 상태에서 작업하면 공간 확보에 유리합니다.

이 자가 장착 과정은 생각보다 단순하지만,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조심성과 인내심만 있다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습니다. 수고스럽게 서비스센터를 방문할 필요 없이, 단돈 몇 만원과 30분의 시간 투자로 당신의 엘지 그램을 더 강력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이제 대용량 파일 저장에 대한 걱정은 내려놓고 쾌적한 노트북 환경을 즐겨보세요!

(공백 제외 글자수: 2029자)